OS : Linux CentOS 6.9 64비트
JAVA : tomcat 8.0.33
위주소에서 운영체제 Linux를 선택해서 사용하고자하는 버전의 tomcat을 다운받습니다.
os 버전 맞춰주셔야합니다.
----------------------------------------------------------
/sw/was 위치에 apache tomcat-8.0.33-windows-x64.zip 파일을 미리 옮겨 두었습니다.
리눅스 운영체제에 윈도우 버전을 zip 파일로 가져왔습니다.
tomcat 다운받을때 tar로 받으셔도 상관없고 저처럼 zip파일로 윈도우꺼 다운받으셔도 상관없습니다.
----------------------------------------------------------
unzip을 이용하여 파일 압축을 풀어줍니다.
명령어
- unzip [zip파일]
- apache [zip파일] -d [폴더명]
폴더를 따로 설정안할경우 그 위치에 그냥 압출 풀려버립니다. 참고하세요
apache apache-tomcat-8.0.33-windows-x64.zip -d apachee-tomcat-8.0.33
----------------------------------------------------------
/sw/was 위치에 apache-tomcat-8.0.33/bin으로 이동후
JAVA HOME, CATALINA HOME, 메모리 설정등을 하기 위해
vi편집기를 사용하여 catalina.sh 파일을 열어줍니다.
vi catalina.sh
----------------------------------------------------------
...
내중에 주석이 끝나는 부분에 다음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빨간색 글씨는 현재 was 위치와 java 위치로 잡아줍니다.
CATALINA_OPTS는 메모리 설정이며 현재 사용중인 서버또는 단말기의 사양에 맞게 설정해줍니다.
이부분이 중요한게 너무 적게 메모리를 잡게 되면 톰캣 기동시에 out of memory 에러로 톰캣이 기동되지 않습니다.
Insert키를 눌러 수정 상태에서
CATALINA_OPTS="-Xms4096M -Xmx4096M -XX:PermSize=512M -XX:MaxPermSize=512M"
CATALINA_HOME="/sw/was/apache-tomcat-8.0.33"
JAVA_HOME="/sw/java/jdk1.7.0_80"
자바가 꼭 설치되어있어야합니다.
----------------------------------------------------------
저장후 종료합니다.
저장 후 종료 : ESC > : > wq
종료 ESC > : > q
강제 종료 : ESC > : q!
----------------------------------------------------------
이제 설정이 끝났으니 톰캣을 기동해봅시다.
명령어는 ./startup.sh
여기에서 ./sta 탭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되어야하지만 자동완성이 되지않는다면 해당 권한이 없는것입니다.
/sw/was 위치에 apache-tomcat-8.0.33/bin에서
bin 파일 자체에 대해서 권한을 755로 설정하겠습니다.
cd .. 상위 폴더로 이동후
chmod -R 755 bin 명령어 수행
수행후 다시 bin으로 들어가면 안에 내용들의 색이 변경했을겁니다. [권한이 변했으므로]
권한설정 꼭 중요합니다.
./startup.sh 실행
정지는 ./shutdown.sh
----------------------------------------------------------
...
이제 톰캣이 제대로 기동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로그를 확인해봅시다.
/sw/was/apache-tomcat-8.0.33/logs 이동 후
tail -f catalina.out 명령어 실행
안의 내용이 보여집니다.
맨 마지막에 Server startup in 2819 ms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기동이 되어진겁니다.
만약여기 내용에 out of memory나 CATALINA 등등 다른내용이 포함되어있다면 여러이유로 정상 기동이 되지 않은겁니다.
----------------------------------------------------------
포트 설정은 8080으로 되어있습니다.
해당 URL에 : 8080으로
브라우저에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뜰겁니다.
http://ip:port
이렇게했을경우 화면이 뜨면 다행 안뜰경우 8080포트에 대한 방화벽이 안열린겁니다.
방화벽의 경우 root 권한이 있는 계정을 사용하여야합니다.
아웃바운드의 경우 명령어는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8080 -j ACCEPT
인바운드의 경우 명령어는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8080 -j ACCEPT
이제 방화벽에 8080포트가 open이 된다음에
화면을 띄워봅니다.
'IT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서버/aws] Amazon Web Services 계정생성 (0) | 2019.03.30 |
---|---|
[OS/Linux/TOMCAT] Linux CentOS tomcat 셋팅하기 [서비스 설정, p_id] (0) | 2019.03.07 |
[OS/Linux/JDK] Linux CentOS java jdk install (0) | 2019.03.07 |
[OS/Linux/ UNZIP] unzip install (0) | 2019.03.07 |
[OS/Linux/메모리] Linux 메모리 확인하기 (0) | 2019.03.07 |
댓글